- Global Voices 한국어 - https://ko.globalvoices.org -

배운대로의 과거 ‘뒤집기’ (‘unlearning’)의 중요성: 발칸 전문가 키이스 브라운과의 인터뷰

Categories: 동유럽/ 중앙유럽, 그리스, 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세르비아, 알바니아, 터키, 교육, 국제관계, 민족/인종, 시민 미디어, 아이디어, 역사, 예술/ 문화
Prof. Keith Brown, Arizona State University. Photo used with his permission. [1]

키이스 브라운 교수, 아리조나 주립 대학 소속. 본인 허락 하에 사진 사용.

이 기사는 Meta.mk.에서 원래 출판 [2]했다. 여기 편집된 기사를 Global Voices와 Metamorphosis Foundation간의 컨텐트 공유 계약하에 다시 기재한다. 인터뷰한 인물 인용문 내에 모든 링크는 Meta.mk가 제공했다.

키이스 브라운 [3]은 아리조나 주립 대학의 [4] 정치와 세계학과 교수이다.그는 또 러시아, 유라시아, 동유럽 연구을 위한 멜리키안 센터의 소장이다. 시카고 대학에서 수여한 박사학위을 소지하고 그의 주요 공헌 분야 발칸 지역의 문화, 정치, 정체성에 집중한다.

이지역의 민족적 역사와 그 역할에 관한 그의 광범위한 연구의 일부가 그의 저서 “과거의 의문점: 현대 마케도니아와 국가적 불확실성 (2003)” 그리고 “죽음에 이르는 충성, 마케도니아 혁명시대의 신뢰와 공포 (2013)” 번역판으로 북마케도니아 일반 대중이 입수할 수 있게 되었다.

CriThink.mk [5]포탈을 이용한 인터뷰에서 브라운은 역사를 배우는 데 있어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CriThink: 역사와 인류학에 비판적 사고를 적용하는 게 얼마나 중요합니까?

Keith Brown (KB): Critical thinking is very important in both history and anthropology.  Skeptics and naysayers sometimes dismiss our methods as “soft” or trot out tired clichés like “history is written by the winners.” But evaluating and comparing sources, and weighing how cultural and social factors impact individual decisions, are essential components of both disciplines. In addition, and perhaps most importantly, historians and anthropologists recognize that meanings and horizons shift over time and across space.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e study of nationalism—a mode of political organization and identity formation that contributed to the break-up of multiconfessional empires in the 19th century, and which often seeks legitimacy by claiming ancient roots.  What makes it more complicated is that most nation-states place a high premium on communicating to their citizens a strong sense of shared history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s. Often, it is easier for people to see the inconsistencies and distortions in their neighbors’ versions of the past, than to question or closely scrutinize the history that they think holds their own society together.

Critical thinking demands, as an early step, recognition of one’s own blinkers, prejudices and areas of ignorance. It also benefits from dialogue in which participants check their egos and agendas at the door, and measure success not by the points they score, but by the new ways of seeing they have helped generate for themselves or others.

Keith Brown (KB): 비판적 사고는 역사와 인류학 모두에 아주 중요합니다. 회의론자들과 반대론자들은 간혹 우리의 방법론을 “나약”하다거나, 아니면 “역사는 승자에 의하여 쓰인다.” 같은 케케묵은 문구로 일갈합니다. 그렇지만, 자료를 분석하고 비교하고, 개인의 결정을 좌우하는 문화적 사회적 요인들의 비중을 측정하는 것이 양 학문의 기본 구성 요소입니다. 게다가, 아마 더 중요한 것은, 역사가들과 인류학자들은 의미와 지평선이 시간이 흐르고 또 모든 공간을 포함하면 바뀐다는 것을 인지합니다.

이것은 민족주의를 연구하는데 특히 중요합니다–19세기에 다종교 관용주의 제국들의 해체에 기여한 정치적 기관와 정체성 결성의 형태인데, 종종 태고적 뿌리를 주장함으로서 합법성을 추구합니다. 더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대개 민족 국가들은 그 국민에게 다른 국민들과 구별되는 공유된 역사에 대한 강력한 의식을 심는 것에 역점을 둡니다.  때로, 사람들이 그들의 이웃 국가가 그려낸 과거에서 일관성의 결여와 왜곡을 보는 것이 자신들의 사회를 보강한다고 생각하는 스스로의 역사를 의심하거나 면밀히 검토하는 것보다 쉽습니다.

비판적 사고는 첫 걸음마로, 자신의 깜박이, 편견, 그리고 무지한 분야부터 점검할 것을 요구합니다.  또한  대화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본인의 자아와 안건부터 확인하고, 성공의 척도를 본인이 딴 점수로가 아닌, 그들 자신이나 다른 이들을 도와 새로운 방법으로 사고하는 데 도운 것으로 재는 대화는 그 혜택이 큽니다.

Books by Keith Brown. [6]

영어판 키이스 브라운의 저서  “죽음에 이르는 충성, 마케도니아 혁명시대의 신뢰와 공포 (2013)” 와 “과거의 의문점: 현대 마케도니아와 국가적 불확실성 (2003)”

CriThink: 대개 발칸 국가들의 정치 체제는 “긍정적인”것을 취하고 “부정적인” 것들을 배제한 “사실들”에 바탕을 둔, 공식적  입장을 창안하거나 견제하여 그것을 공공 교육의 교재로 쓰는  “민족 역사” 개념 향상을 고수하는 듯 보입니다. 최근  200년간의 이러한 독단주의적 접근 방법은 “이방인”들에 대한 압제의 합리화에 종종 사용되어 왔는데요.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 역사를 찿을 수 있읍니까?

KB: History is an incredibly rich domain of study. In 2015, oral historian Svetlana Alexievich [7] was awarded the Nobel Prize for Literature for her work chronicling citizens’ voices from the end of the Soviet Union. Organizations like EuroClio [8]—to which many history teachers from the Balkans and Eastern Europe belong—promote the study of global history, and encourage members and students to explor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history. Courageous and open-minded historians are often leading critics of the exceptionalism on which national history is founded—including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efforts like the 1619 project. [9]

I think that these kind of approaches have enormous potential to transform people’s understandings of the past, and prompt reflection on how the present will look from the future. I am

particularly excited by the promise of microhistory [10], as pioneered by Carlo Ginzburg [11], which draws out the broader human significance from the close study of an event or community.

KB: 역사는 믿기 힘들 정도로 풍요로운 학문 분야입니다. 2015년 구술역사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Svetlana Alexievich) [7]가 소련 말기 시민들의 목소리를 기록한 작품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읍니다. 유로클리오 (EuroClio) [8] 와 같은 단체들이—발칸과 동유럽의 많은 역사 선생들이 속해 있는데 –세계사 공부를 추진하고, 회원들과 학생들이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역사를 탐구하는 것을 장려합니다. 용기있고 개방적인 역사가들은 종종 1619 프로젝트 [9] 같은 일로 미국을 포함한 민족주의 역사의 기반인 예외주의의 주도적 비평가들입니다.

나는 이러한 접근 방법들이 우리의 과거에 대한 이해를 전환시킬 막대한 잠재력이 있고, 현재가 미래에 어떻게 보여질지에 대한 추리를 유발한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특히 소규모 역사 (microhistory) [10]가 약속하는 것에 기대가 큰데, 카를로 긴즈버그 (Carlo Ginzburg) [11] 가 창시한, 특정 사건이나 지역에 대한 면밀한 연구에서 보다 광볌위한 인간적 중요성을 끌어내는 방법입니다.

Macedonian language editions of Keith Brown’s books “The past in question: Modern Macedonia and the Uncertainties of Nation” (2019) and “Loyal unto Death, Trust and Terror in Revolutionary Macedonia” (2014). [12]

마케도니아어 변역판  키이스 브라운의 저서 “과거의 의문점: 현대 마케도니아와 국가적 불확실성 (2010)” 과 “죽음에 이르는 충성, 마케도니아 혁명시대의 신뢰와 공포 (2014).”

CriThink: 당신의 저서 “죽음에 이르는  충성, 마케도니아 혁명시대의 신뢰와 공포”에서 당신은 그리스의 마케도니아인의 투쟁 박물관 (Museum of Macedonian Struggle) [13]에 마이크로필름으로 소장된 영국 영사 서신; 또는  북 마케도니아 국가 문서 보관소 (State Archive of North Macedonia) [14]에 소장된 1948년과 1956년 사이의 혁명에서 생존한 노령자들이 새 마케도니아 국가에 제출한 연금신청서를 포함한 당신에게 가용한 역사적 출처에 존재하는 불분명성이나 편견으로 인한 도전거리를 지적합니다. 그런 기록들에서 유효한 정보를 추출하는 문제에 어떻게 대처했읍니까?

KB: I first read many of these sources while I was a graduate student in anthropology. Conscious that the Ilinden Uprising [15] of 1903 had been interpreted differently by scholars for whom the correct context was Greek, Bulgarian, Serbian, Albanian, Yugoslav, Ottoman, Balkan or Macedonian history, I wanted to get as close to the period as I could, by engaging closely with sources that, in one way or another, stood outside these frames of reference.

I was struck, for example, by the fact that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National Archive in Skopje, only a handful of scholars had sought access to the Ilinden dossier of biographies. My understanding was that these sources were discounted because, self-evidently, they were self-interested. The British, French, German and American diplomatic and consular records from Ottoman Macedonia, by contrast, are often treated as wholly dispassionate, objective and clinical accounts, as if their authors were scientifically trained medical professionals, diagnosing the ills of an empire on its death-bed. In writing “Loyal Unto Death,” I took an alternative, subversive approach toward these two sets of sources.  Whether or not individual pension-seekers amplified their own roles, or edited out those elements that might weaken their case for state recognition, their accounts drew from their own or their age-mates’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s.  No-one lied about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revolutionary organization, the methods of recruitment, or the logistics of acquiring weapons or distributing information and supplies: what would be the self-interest in doing so? Thus they provide us, individually but even more so in aggregate, with a sense of the shared day-to-day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a resistance and rebellion.

British consular accounts, often read as if magisterial, reflect their individual authors’ biographies, perspectives and access to sources: Alfred Biliotti [16] was a naturalized British citizen born in Rhodes who had worked his way up from the position of dragoman and had close ties with Ottoman and Greek authorities, whereas James McGregor knew Bulgarian and expressed the view that the Organization commanded strong support. Their accounts diverge or clash. This is not to say that all sources or accounts are equally valid or suspect.  It is rather to argue that we need to get past our own cultural preconceptions, whether they tell us “peasants lie” or “diplomats are cynical careerists,” and remain alert to the ways they can surprise us.

KB: 내가 처음 이 자료들의 대부분을 읽은 것은 인류학 석사 과정을 밟고있을 때였어요. 1903년의 일린덴 반란 (Ilinden Uprising) [15]이 그리스, 불가리아, 세르비아, 알바니아, 유고슬라비아, 오스만, 발칸, 마케도니아 각각 해당 역사에 따라 학자들 마다 다르게 해석되어 왔다는 것을 알고나서, 어떻게든 이러한 가치관들과 동떨어진 자료들을 면밀히 다룸으로써, 그 시대에 최대한 가까이 접근하기를 시도했어요.

나는, 예를 들어, 스코피예 (Skopje)의 민족 문서 보관소 기록에 의하면, 단지 몇몇의 학자들이 일린덴 서류의 전기들에 손을 댔다는 사실에 놀랐읍니다. 내가 이해하기에 이 자료들은 경시되는데, 왜냐하면, 자명하게도, 이것들은 자득적이기 때문이예요.  오스만 점령 마케도니아 당시 영국, 불란서, 독일, 미국의  외교와 영사관 기록은, 반대로, 저자들이 마치 과학적으로 훈련된 의료 전문인으로 한 제국의 불행을 그 임종 침상에서 진단하기라도 하는 양 전적으로 무감정적이고, 객관적, 임상적인 기록으로  종종 치부됩니다. “죽음에 이르는 충성”에서 나는 상반되는 대안을 마련했어요.   연금을 필요로 하는 개인이 그들의 역할을 부풀렸던, 공적 인지를 위해 그들의 케이스의 취약점들을 삭제했던, 그들 자신 아니면 자기 또래의 경험과 이해에 바탕을 두었던, 그렇지 않았던.  그 아무도 혁명적 기관의 조직 구조, 모집 방법, 또는 무기 구획 내역이나 정보와 양식 배포에 대해서는 거짓말하지 않았읍니다:  그렇게 해서 자신이 얻는 소득이 뭐가 있겠어요? 그 결과, 그들은 개인적으로 또 나아가 집단으로, 저항과 혁명에 동참하여 공유하는 하루 하루의 경험이 뭔지 우리에게 제공했읍니다.

영국 영사관 기록은 주관적 문체인데, 개인 저자의 전기, 관점, 자료 접근 방식을 반영합니다: 알프레드 빌리오티 (Alfred Biliotti) [16]는 로도스 섬 (Rhodes)에서 태어나 영국 시민으로 귀화했는데 통역으로 시작해서 출세의 길에 올랐고 오스만과 그리스 당국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 반면, 제임스 맥그리거는 불가리아인을 알았고, 영사관이 강력한 후원을 했다는 관점을 서술했읍니다. 그들이 기술하는 바는 빗나가거나 엇갈립니다. 이것은 모든 자료가 똑같이 유효하다거나 의심스럽다는 말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이 “소작농의 거짓말”이던, “외교관들은 냉소적 직업인들 이다”라는 것이던, 우리의 문화적 선입견을 뒤로 하고, 그것이 우리를 놀라게 하는 것들에 꾸준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입니다.

CriThink: 작동하는 타임 머신이 없는 상태이니까, 사라진, 압수된, 조작된, 또는 엇갈리는 기록, 그 언어의 해석이나 그 당시 쓰인 언어 중 의미 자체가 경우를 고려할 때 역사적 존재의 “민족 의식,”을 정확히 결정하는 것은 힘듭니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이 지역 전역에 어떤 비판적 사고 능력을 양성하는 것이 필요합니까?

KB: In “The Past in Question,” I chose to use the language of the British consular sources rather than update or modify it, and to try to translate sources in Greek and Bulgarian into the English of that time, rather than of the early 21st century.  I thus used terms like “Bulgar,” “Arnaut,” “Mijak” and “Exarchist” seeking in this way to remind readers of the very different world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hen “Greece” referred to a territory roughly half the size of modern Greece; when only a small fraction of people who would call themselves “Bulgars” owed loyalty to the Ottoman-administered “Bulgaria” with its capital in Sofia; when the Sultan sought to restrict the use of the Albanian language, and the term “Macedonia;” and when the prospect of an alliance of convenience between the ambitious nation-states of Bulgaria, Serbia and Greece to carve up and nationalize Ottoman territory surely seemed absurd to most.

For me, critical thinking demands, paradoxically, that we try to unlearn what actually happened since the period we are trying to understand; or at least, allow it to strike us as surprising or at least non-inevitable. This then concentrates our attention on the factors that drive outcomes. It also liberates us from the illusion that figures in the past—like Ilinden-era figures Goce Delchev [17]Nikola Karev [18]Damjan Gruev [19] or Boris Sarafov [20]—imagined their own identity in terms of the nationalisms of their future.

KB: “과거의 의문점”에서 나는 영국 영사관 자료의 언어를 바꾸는 대신 그대로 사용을 선택하고, 또 그리스어나 불가리아어를 21세기 초반 영어가 아닌 그 당시 영어로 번역을 했어요.  그래서 “불가 (Bulgar),” “아르나우트 (Arnaut),” “미작 (Mijak)” and “엑카리스트 (Exarchist)” 같은 용어를 쓰는데, 이렇게 해서 독자들에게 19세기 후반의 다른 세계를 상기시켜 주려는 거죠; “그리스 (Greece)”가 현대 그리스의 약 반 정도 영토였을 때; 단지 자신을 “불가스(Bulgars)” 라 칭하는 소수의 사람들이 소피아가 수도인 오스만 행정지 “불가리아 (Bulgaria)”에 충성을 표방할 때; 술탄이 알바니아어의 사용과 “마케도니아 (Macedonia),”라는 용어의 사용을 금지를 추구하고,  그리고 불가리아, 세르비아, 그리스의 편의적 동맹의 오스만 영토를 도려내어 야심적 민족국가를 꿈꾸는 전망이 대부분에게는 절대 터무니없는 일로 보였을 때 입니다.

내게는 비판적 사고가 요구하는 것은, 역설적으로, 우리가 이해하려는 시대 이후에 실제로 행해진 일들을 벗겨내거나, 적어도 그것이 우리를 놀라게 한다거나 최소한 불가피한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허용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결과를 성취하는 요소들에 우리의 주의를 집중하게 합니다. 그것은 또한 과거의 인물–일린덴 시대의 인물들 고체 델체브 (Goce Delchev) [17], 니콜라 카레브 (Nikola Karev) [18], 다미얀 그루예브 (Damjan Gruev) [19] 또는 보리스 사라포브 (Boris Sarafov)  [20] 자신들이 상상한 민족주의적 미래에서의 정체성의 허상으로부터 우리를 자유롭게 합니다.

[21]

2010년 12월 마케도니아어 번역판 저서  “과거의 의문점: 현대 마케도니아와 국가적 불확실성 (2010)” 시판회에서 키이스 브라운과 역사가 이레나 스테포스카.  Photo [22] by Vančo Džambaski, CC BY-NC-SA.

CriThink: 그렇지만 이런 문제들이 미끄러운 비탈길의 국제적 분쟁에 핵심 논지로 심화하는 것 같은데요, 고체 델체브(불가리아-북 마케도니아)로 부터  니콜라 테슬라 (Nikola Tesla) [23](세르비아-크로아티아), 스칸데르버그 (Skanderbeg) [24] (그리스-알바니아), 녜고스 (Njegoš) [25] (몬테네그로-네르비아)로,  킹 마르코 (King Marko) [26] (북 마케도니아-세르비아-불가리아)로요. 이런 문제들을 단지 분쟁 국가 사이에서 세력에 토대해서가 아니라, 보다 높은 객관적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KB: Social scientists, including historians (and I’d include myself in this assessment) don’t always keep up to date with developments in other disciplines and fields.  This manifests itself in approaches rooted in the conventions of 19th century Newtonian sciences, with a focus on breaking down complex reality into experimental-size pieces, where we can test hypotheses in an “either/or” mode to determine cause and effect, the rules of energy transfer and transformation, and so on. Contemporary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cience, though, have moved far beyond this paradigm; into the world of quarks, bosons and quantum mechanics, where non-specialists can barely follow. Ask the average person where they stand on the wave-particle duality [27], and you’re probably in for a short conversation. It requires thinking in “both/and” terms that demands effort, and also a realignment of deeply held common-sense. But this lack of public understanding doesn’t prevent physicists from pursuing their work and generating new insight into the workings of the universe.

Balkan history has been shaped by the territorial ambitions and disputes of the last century, and so has become a 영합 게임 [28]; it also has quasi-religious aspects, insofar as current debates reveal an implicit concern with purity and pollution underlying accusations around loyalty and betrayal. Grievances and disputes escalate; and (to pursue the game metaphor) there is no mechanism, in this case, by which both sides would agree to invest a referee with the authority to call the game fairly; the stakes are seen as too high.

An alternative view would be that the dispute over Goce Delchev’s “true” identity, for example, is a classic case of the 죄수의 딜레마 게임 [29]; in which both sides fear that by surrendering their claim to ownership they will lose and the other side will win (Bragging rights? Prestige? The mantle of “true” nationhood?), but the consequence of their refusal to acknowledge ambiguity is that both sides are seen as intransigent or blinkered in the wider community of nations.

KB:사회 과학자들, 역사가들을 포함하여 (여기 나 자신도 이 사정에 들어가는 데) 다른 학문과 분야의 최신 발전 현황에 늘 빠삭하지 못합니다. 이것은 19세기 뉴톤 과학 시대의 전통에 뿌리를 둔 복잡한 현실을 실험 가능한 크기로 쪼개 나누어 가는 데 집중하는, 가설을 검토하는 데 있어, “이거냐/저거냐”의 식으로 원인과 결과, 에너지 이동의 법칙 그리고 변환 등을 결정하는 접근 방법입니다.  현재의 이론 실험 과학은 이 체제로부터 멀리 떠나 쿼크, 보손, 양자 역학의 세계로 전문가가 아니면 간신히 따라갈까 말까한 곳까지 나아갔읍니다. 보통 사람한테 파동-입자 이중성 [27]에 대해 어떤 입장이냐고 물으면, 아마 짧은 대화밖에 못할거예요. 그것은 노력이 필요한 “둘다/그리고” 식의 사고와 거기다가 깊이 자리잡은 상식의 재편성을 요구합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대중의 결여된 이해가 물리학자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일을 추구하고 우주가 돌아가는데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창조하는 것을 멈추게 하지는 않습니다.

발칸의 역사는 지난 세기의 영토에 대한 야심과 분쟁으로 이루어져서, 영합 게임 [28]이 되었고; 또한 현재의 논쟁이 충성과 배신에 관한 비난의 기저에 청렴과 타락에 관한 함축적 문제가 드러내게 되면 어떤 의미에서 종교적 양상을 띠게 됩니다. 불만과 분쟁이 상승하고, (게임의 비유를 계속하자면) 이 경우는, 게임을 공정하게 진행할 권위 있는 심판에 쌍방이 투자를 동의할 수 있는 체제가 없읍니다; 판돈이 너무 높아 보이는 거죠.

한 대안은 고체 델체브의 “진짜” 정체애 대한 분쟁인데 이것은 고전적 죄수의 딜레마 게임 [29]의 경우로, 양쪽이 당사자의 주장의 소유권을 포기하면 자신이 패배하고 상대가 승리하는데 대한 공포를 품고 있지만 (떠벌릴 권리? 특권? “진정한” 민족성 전시?), 불확실함의 인정을 거절함으로써 보다 넓은 국가 공동체가 쌍방을 비타협적이고 편협하다고 간주합니다.

CriThink: 그 어떤 국제적 과학 법정이 악화를 막기 위해 개발될 필요가 있을까요, 대량 학살과 전쟁 범죄로 (르완다, 과거 유고슬라비아) 인한 분쟁의 종결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 법정과 비슷한 거요?

KB: I don’t see value in an external tribunal offering some authoritative closure: for me, that’s not how history (or science) work.  All findings are contingent and provisional: they are contributions to an ongoing exchange, the ultimate goal of which is not to set some conclusion in stone, but provide material that can open new horizons and perspectives.

KB: 외부 법정이 그 어떤 권위로 중결을 제공하는 것의 가치를 모르겠읍니다; 내가 보기엔 역사는 (혹은 과학은) 그렇게 이루어지지 않아요. 모든 사실 인정은 우발적이고 잠정적입니다: 그것은 현재 진행중인 교환에 공헌해요, 궁극적인 목적은 암석에 명시한 어떤 결론이 아니라, 새 지평선과 새로운 관점들을 펼치는 바탕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CriThink: 발칸에서는 민주주의를 증진하는 전문 언론인 고유의 역할에 반하여, 미디어가 역사에 관해 가장 극단적이고 분극적인 민족주의적 견해의 증폭기로 종종 쓰입니다. 주류 미디어 영역에서 역사에 관한 비판적 사고를 깊이 심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읍니까?

KB: My own fantasy solution is something like what a group of Macedonian youth leaders did in the second half of the 1980s with the Youth Film Forum (Mladinski filmski forum [30]), and set up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engagement with film, literature and other prompts.  What would happen, for example, if Bulgarian and Macedonian historians and journalists watched “홍살문 (Rashomon) [31]” together? Or undertook a joint project (perhaps with Albanian colleagues) on the economic, psychological and social effects of 구르베/페칼바 (gurbet/pečalba) [32]? Or conducted a close joint study of the United States 1619 project? I believe they would emerge with a shared vocabulary to address issues of contingency, ambiguity, trauma and structural violence that are shared across the Balkan region—and beyond.

KB: 내가 개인적으로 꿈꾸는 해결책은 1980년 마케도니아의 청소년 지도자들이 청소년 필름 포럼(Mladinski filmski forum [30])의 후반부에서 했던 것 같은 것, 그리고 영화, 문학, 또는 다른 촉진제를 이용, 배우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예요. 예를 들어, 불가리아와 마케도니아 역사가들과 언론인들이 “홍살문 (Rashomon) [31]“을 같이 보면 어떻게 되겠어요? 아니면, 구르베/페칼바 (gurbet/pečalba) [32]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공동 과제를 맡으면 (아마 알바니아인 동료들과) 어때요? 그들은 우발성, 불확실성, 트라우마 그리고 발칸 지역을 덮고 그 너머에 만연하는 체제적 폭력의 문제들을 다룰 공통 언어를 창조되리라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