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활동가들은 인터넷과 핸드폰을 통해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다고 하며 이집트 인들이 (개인 정보) 보안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EFF의 활동가 에바 갈페린(Eva Galperin)은 글로벌 보이스 에드보커시(Advocacy)싸이트의 객원 포스팅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집트 시위자가 온라인 상으로 대화할 때는 특히 주의 하여야 합니다. 또 반복하자면, 소셜 네트워크 도구들이 활동가들에게 강력한 목소리를 부여하여 이집트 한참 밖까지 그들의 목소리를 내게 한 것이 사실이지만 이집트 정부가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사람들의 신원을 알아내고 보복할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았으면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고자와 목격자들은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해서 메시지를 계속 보내고 있다. 활동가들은 (정보) 차단 상태를 우회하여 계속 활동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세계 사람들이 라디오, TV, 출판 미디어에 집중한다. 사람들은 유선을 통하여 이집트 밖에 동료, 친구, 친척에 소식을 알리는데 이 내용을 전달받은 사람들은 처음 발송인의 이름으로 다른 이들에게 메시지를 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노라 샬라비(Nora Shalaby)의 경우에는:
제는 제 여동생 대신해서 미국에서 트윗하고 있어요! 오늘 카이로 중심가에서 두 명이 경찰 옆에서 자동차에 기름을 들이 부었다고 하네요.#jan25
특별히 ‘1월 25일의 보이스: @Jan25voices'란 뉴스 피드는 인터넷 차단 상태를 분쇄 시키기 위해서 세워졌다. 이들은 1월 28일 그들의 메시지를 보냈고 현재 700명 넘는 팔로워를 모은 상태이다. 그들의 피드를 말하기를:
우리는 전화와 다른 방법을 통해서 정보 차단 상태에 들어가 있는 이집트인과 말하려고 합니다. 이집트인들은 그 와중에도 트윗을 실시간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저희 연락 주소는 jan25voices(at)gmail.com 입니다.
이들은 각 트윗의 출처를 명시하려고 한다. 전형적인 예로는:
실황 전화 연결: 수에즈 사는 사람이 보내온 아직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에 따르면 경찰서에서 불도저가 동원되었다고 합니다. #jan25 #jan28 #Egypt
많은 이들은 알 자지라 영어 방송에서 이미지를 피드하고 있다. 이 방송은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영상을 내보내고 있다. 많은 이미지들이 이집트에서 모여지고 있기는 해도 이집트 내에서 볼 수는 없는 상태다. CNN의 경우는 이집트 공영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아래는 알 자지라 방송의 캡쳐 화면이다.
알자지라는 방송 보도를 통해 정부가 미디어 전면 차단을 시도하면서 알자지라 기자들을 비롯한 내외신 기자들에게 경고를 보냈고, 알자지라 지사가 폐쇄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외신 방송 기자와 신문 기자들은 다른 접근 지점에서 인터넷에 접속을 계속해 나가거나 다른 지부를 이용하기도 했다.
어떤 식으로 보면, 지금 이집트인들이 인터넷과 핸드폰을 보도 수단으로 쓰는 양식은 2009년 6월 이란 시위의 양상과는 정 반대라고 볼 수 있다. 지금은 매스 미디어가 계속 작동은 하고 있지만(최소한 이집트 밖의 청중들을 위해서는), (소셜) 네트워킹 미디어는 심각하게 축소된 현실이다. 그러나 연결성이 강한 이집트 사회 성격은 미디어 폐쇄란 상황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을 서로 연결시켰다. 정부의 정보 차단은 기본적으로 이에 대한 반동이라고 볼 수 있다. 거리 시위는 이 사건을 계기로 새로운 모멘텀을 가지게 된 것이다.